강좌소개
과목명 |
사회복지학개론 |
교수명 |
이경준
|
교수 연락처 |
1899-5662 |
이메일 |
help@kystudy.co.kr |
년도/차시 |
2025년 2-6차 |
학습기간 |
2025년 10월 22일 ~ 2026년 02월 03일 |
강의시간 |
15주 |
학점 |
3 |
평가구분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m.kystudy.co.kr/MyCourse)
|
수업개요
사회구성원들의 기본적 욕구충족을 위해 조직화된 사회적 활동의 총체인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역사와 가치 및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하고, 사회보험, 사회복지서비스, 자선과 박애, 공공복지, 상호부조 등 사회복지 관련 제도들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사회복지의 미시적, 거시적 실천방법을 알아보고, 사회복지와 관련된 분야들의 여러 쟁점들을 비롯하여 사회복지의 각 영역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의 미래와 전망에 대해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반에 걸친 이론적 이해를 향상시키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사회복지현황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자질을 배양한다.
수업목표
1.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를 이해하고 인간과 사회복지의 관계를 파악하여, 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념을 이해하는 사회복지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기본 개념을 정립하여 활용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의 역사와 가치 및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며, 사회복지와 관련된 법과 제도를 제시할 수 있다.
3. 사회복지 발달의 변화 과정에서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 전문직의 역사를 이해하고, 전문조직의 구조와 실천방법을 전문적, 정책적, 제도적, 통합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4. 사회복지 제도와 관련된 사회보험, 사회복지서비스, 자선과 박애, 공공복지 등 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도들을 이해하고, 사회복지 실천과정의 접근 방법과 실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5. 사회복지의 미시적·거시적 실천방법을 파악하고, 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 행정, 정책, 서비스, 현장사례 등 사회복지의 각 영역을 분석하고, 각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적절한 실천 개입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6. 사회복지실천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지닌 서비스 대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현장사례를 적용하여 전문가로서의 효과적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기술을 사회복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7. 사회복지의 실천 대상을 이해하고, 사회복지 관련된 제도와 실천분야의 현황 및 변화와 실천현장의 환경에 따른 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를 중심으로 서비스 실천 대상 욕구에 적합한 미래 사회복지의 방향성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주요 학사일정
중간고사 |
2025년 12월 14일~2025년 12월 17일 |
기말고사 |
2026년 1월 25일~2026년 1월 28일 |
과제 |
2025년 12월 18일~2026년 1월 13일 |
토론 |
2025년 11월 5일~2025년 11월 18일 |
쪽지(OX퀴즈) |
2025년 11월 19일~2025년 12월 2일 |
중간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2025년 12월 27일~2025년 12월 28일 |
기말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2026년 2월 7일~2026년 2월 8일 |
최종 성적공개 |
2026년 2월 7일~2026년 2월 8일 |
평가기준
중간 고사 |
기말 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출석 |
계 |
25% |
25% |
20% |
10% |
5% |
1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특이사항
1. 수료기준: 총 성적 60점 이상(상대평가), 출석률 80% 이상
2. 평가기준: 출석(15%), 중간고사(25%), 기말고사(25%), 과제(20%), 퀴즈(5%), 토론(10%)
1) 출석: 각 차시별 진도 반영(기간 내 출석으로만 평가)
2) 중간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8주차)
3) 기말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15주차)
4) 과제: 학습자별 상호 모사율 체크를 통한 평가(9주차)
5) 토론: 학습자 간 의견 제출(3주차)
6) 퀴즈: O,X 퀴즈 5문항(5주차)
3. 성적등급비율: A~A+(20%). B~B+(40%), C이하(40%) / 상대평가
4. 과제 및 토론 주제
1) 과제주제(9주차): 사회복지의 일반적인 가치와 사회복지전문직 실천의 가치
2) 토론주제(3주차): 인간의 욕구와 사회복지의 관계
3) 상세내용은 시작일에 공개되오니 참고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