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과목명 |
사회복지실천론 |
교수명 |
김정선
|
교수 연락처 |
1899-5662 |
이메일 |
help@kystudy.co.kr |
년도/차시 |
2025년 2-6차 |
학습기간 |
2025년 10월 22일 ~ 2026년 02월 03일 |
강의시간 |
15주 |
학점 |
3 |
평가구분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m.kystudy.co.kr/MyCourse)
|
수업개요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학습하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문성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이념과 철학, 가치와 윤리, 서구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소개, 사회복지실천 대상 및 문제의 개관과 함께 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파악한다. 또한 접수 및 자료수집, 사정, 계획수립, 개입, 종결 및 평가의 사회복지실천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통합적 접근 및 사례관리 실천 방법을 이해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기초로, 이후에 사회복지사로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수한 상황에서 적절한 실천기술 및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수업목표
●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이념과 철학, 가치와 윤리 등의 사회복지실천 관련 기초개념과 주요 이론의 특징 및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서구 복지선진국과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정리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의 개입수준과 통합적 관점, 주요 기술과 과정인 관계형성과 면접, 기록 등을 정리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과정인 접수와 자료수집, 사정과 목적·목표설정 및 계획수립, 개입과 종결, 평가 등 각 단계별 필수 지식과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 사례관리의 특성과 관점, 이론 및 실천과정의 이해를 기초로 사례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 대표적인 사회복지실천 모델인 심리사회·인지행동·과제중심·위기개입·역량강화모델의 특성과 주요 기법, 과정을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주요 학사일정
중간고사 |
2025년 12월 14일~2025년 12월 17일 |
기말고사 |
2026년 1월 25일~2026년 1월 28일 |
과제 |
2025년 12월 18일~2026년 1월 13일 |
토론 |
2025년 11월 5일~2025년 11월 18일 |
쪽지(OX퀴즈) |
2025년 11월 19일~2025년 12월 2일 |
중간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2025년 12월 27일~2025년 12월 28일 |
기말고사 성적공개 및 이의신청 |
2026년 2월 7일~2026년 2월 8일 |
최종 성적공개 |
2026년 2월 7일~2026년 2월 8일 |
평가기준
중간 고사 |
기말 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출석 |
계 |
25% |
25% |
20% |
10% |
5% |
1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특이사항
1. 수료기준: 총 성적 60점 이상(상대평가), 출석률 80% 이상
2. 평가기준: 출석(15%), 중간고사(25%), 기말고사(25%), 과제(20%), 퀴즈(5%), 토론(10%)
1) 출석: 각 차시별 진도 반영(기간내 출석으로만 평가)
2) 중간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8주차)
3) 기말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15주차)
4) 과제: 학습자별 상호 모사율 체크를 통한 평가(9주차)
5) 토론: 학습자 간 의견 제출(3주차)
6) 퀴즈: O,X 퀴즈 5문항(5주차)
3. 성적등급비율: A~A+(20%). B~B+(40%), C이하(40%) / 상대평가
4. 과제 및 토론 주제
1) 과제주제(9주차):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개념과 특징
2) 토론주제(3주차): 사회복지사가 다양한 가치와 윤리적 갈등(딜레마)
3) 상세내용은 시작일에 공개되오니 참고바랍니다.